반응형
열사병(heat stroke)은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신체의 체온 조절 기능이 마비되어 체온이 40℃ 이상으로 비정상적으로 상승하고, 중추신경계 이상(의식 변화, 혼수, 발작 등)이 동반되는 매우 위험한 온열질환입니다.
정의 및 특징
- 체온 조절 중추의 기능 상실로 인해 신체가 더 이상 땀 등으로 열을 배출하지 못하고, 체온이 급격히 상승합니다.
- 심부 체온이 40℃ 이상으로 오르며, 뇌를 비롯한 여러 장기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의식 저하, 혼수, 발작, 환각 등 중추신경계 이상이 주요 특징입니다.
- 피부가 뜨겁고 붉으며 건조해지는 경우가 많고, 땀이 나지 않는 무발한 상태가 흔합니다.
- 적절한 치료가 지연될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응급상황입니다.
열사병 주요 증상
열사병(heat stroke)의 증상은 다음과 같이 매우 심각하고, 신속한 응급조치가 필요한 것이 특징입니다.
- 체온 40℃ 이상: 심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급격히 상승합니다.
- 의식 변화 및 중추신경계 이상: 혼란, 섬망, 방향 감각 상실, 발작, 환각, 혼수 등 중추신경계 증상이 나타납니다.
- 피부 상태: 피부가 뜨겁고 붉으며 건조해지는 경우가 많고, 땀이 나지 않는 무발한 상태가 흔합니다. 다만, 운동과 관련된 열사병에서는 땀이 날 수도 있습니다.
- 호흡과 맥박 증가: 호흡이 빨라지고, 맥박도 매우 빨라집니다.
- 두통, 어지럼증, 구토, 근육 경련, 시력 장애: 열사병이 나타나기 직전에 두통, 어지러움, 구역질, 경련, 시력 장애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운동 실조 및 협응력 저하: 몸의 움직임이 둔해지고, 평형을 잡기 어렵거나 서투른 동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타 증상: 졸림, 무력감, 피로, 근육 떨림, 신경질, 혈압 변동(높거나 낮음), 호흡 장애 등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열사병은 체온이 40℃ 이상으로 오르고, 의식 저하 등 중추신경계 이상이 동반되는 치명적인 온열질환으로, 신속한 체온 하강과 응급조치가 생명을 좌우합니다.
열사병 예방 방법
열사병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기본수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 충분한 수분 섭취
-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시원하고 깨끗한 물을 자주 마십니다.
- 신장질환 등으로 수분 섭취에 제한이 있다면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결정합니다.
- 그늘 및 시원한 장소 활용
- 야외 활동 시에는 그늘이나 실내 등 시원한 장소에서 자주 휴식합니다.
- 그늘막, 차양막 등 햇볕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시설을 적극 이용합니다.
- 규칙적인 휴식
- 폭염특보 발령 시 1시간마다 10~15분 이상씩 규칙적으로 휴식합니다.
- 무더운 시간대(12~17시)에는 야외작업이나 운동을 피하고, 근무시간을 조정합니다.
- 적절한 복장
- 헐렁하고 밝은색의 가벼운 옷을 입고, 챙이 넓은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합니다.
- 폭염 예보 확인 및 활동 조절
- 매일 기온과 폭염특보를 확인하여 활동 강도를 조절합니다.
- 폭염경보, 주의보 등 기상 상황에 따라 옥외작업 시간 단축, 작업 중지 등 적극적으로 대응합니다.
- 민감군(노인, 어린이, 만성질환자) 각별히 주의
- 온열질환에 취약한 사람들은 폭염 시 야외활동을 삼가고, 주변에서 건강상태를 자주 확인합니다.
- 응급상황 대비
- 동료나 주변 사람의 건강상태를 수시로 확인하고, 열사병 증상이 보이면 즉시 시원한 곳으로 옮기고 119에 신고합니다.
“열사병 예방의 3대 기본수칙은 ‘물, 그늘, 휴식’입니다. 무더위에는 반드시 이 세 가지를 지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이외에도, 아이스팩·아이스조끼 등 보냉장구 활용, 실내 냉방기기 사용, 음주 및 카페인 음료 자제 등이 도움이 됩니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추잎 효능 및 주의사항, 고춧잎차 만드는 법 (0) | 2025.07.11 |
---|---|
핑거라임 특징과 효능 및 주의사항, 먹는 방법 (3) | 2025.07.11 |
일사병 특징과 증상 및 예방 방법 (0) | 2025.07.11 |
패션프루트 효능과 부작용 및 주의사항 (5) | 2025.07.03 |
망고 영양성분, 효능, 먹는 방법, 주의사항 (3)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