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건강정보400

방어 영양성분 및 효능, 구매요령, 먹는 방법, 주의사항 ※ 방어란?방어는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의 한 종류로, 온대성 어류이며 전 세계적으로 약 15종이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방어, 부시리, 잿방어, 매지방어, 동갈방어 등 약 5종이 분포합니다.방어는 체형이 길쭉한 방추형이며, 몸 중앙을 따라 황색 띠가 뻗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입언저리 각이 직각이어서 비슷한 생선인 부시리와 구별됩니다. 방어는 겨울철에 산란을 준비하면서 지방을 많이 축적해 살이 부드럽고 고소하며, 회, 초밥, 구이 등으로 많이 소비됩니다. 60cm 정도(2~2.5kg) 크기의 방어가 가장 맛이 좋다고 평가받습니다.영양적으로는 단백질과 DHA, EPA 함량이 높아 균형 잡힌 영양을 제공하며, 특히 비타민 D 함량이 청어보다 9배 많아 비타민 D의 보고로 불립니다. 방.. 2025. 11. 17.
11월 추천 음식, 11월 꼭 먹어야 할 음식 11월 대표 제철 음식을 영양 성분과 건강 효과, 조리법을 정리했습니다. 주요 식재료별로 생리활성 성분, 권장 섭취 효과, 유의점 등도 포함합니다.해산물·어패류굴 - 타우린·아연·단백질이 풍부해 면역력 및 피로회복에 도움. 아연은 세포 분열 및 성장, 호르몬 합성에 필수적이고, 타우린은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및 심장 건강 증진. 생굴은 회로, 익히면 굴국밥이나 굴전 등으로 섭취.꼬막 - 철분·타우린·비타민B·필수 아미노산이 많아 간 해독·피로회복·성장 발육·빈혈 예방 효과. 부드럽고 양질의 단백질이 많아 소화가 잘 되고 차갑게 데쳐 꼬막무침, 꼬막비빔밥 등으로 활용.가리비 - 저칼로리·고단백, 비타민B군·미네랄·아미노산 함유로 성장기·신경건강에 좋음. 국물 요리에 감칠맛을 내며 해장에 효과.해삼 - 뼈·.. 2025. 11. 17.
장에 좋은 이눌린 효능과 먹는 방법, 주의사항, 이눌린 많은 음식 이눌린이란?이눌린은 치커리 뿌리, 양파, 마늘, 바나나 등 다양한 식물에서 발견되는 자연 발생 다당류 그룹으로, 주로 과당 단위로 구성된 가용성 식이 섬유입니다. 식물에서는 저장 탄수화물의 역할을 하며, 산업적으로는 주로 치커리에서 추출합니다.이눌린은 프리바이오틱으로서 유익한 장내 세균(비피더스균, 락토바실러스 등)의 성장을 촉진하여 소화 건강 개선과 면역 강화에 도움을 줍니다. 또한, 지방을 대체하는 질감 제공, 설탕 감소, 식품의 질감과 안정성 향상, 섬유질 강화 등 다양한 기능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건강상으로는 규칙적 배변 촉진, 혈당 조절, 포만감 증가를 통한 체중 관리, 칼슘과 마그네슘 흡수 증진으로 뼈 건강 지원 등의 이점이 있습니다. 주로 유제품, 베이커리, 음료, 스낵 등 다양한 식품에.. 2025. 10. 30.
장을 건강하게 하는 성분(음식) ※ 장을 건강하게 하는 주요 성분식이섬유장내 유익균의 먹이가 되어 장내 환경을 개선합니다. 식이섬유는 소화를 돕고 변비를 예방하며, 단쇄 지방산인 낙산염을 만들어 장벽을 강화하고 염증을 줄여줍니다. 라즈베리, 아마씨, 표고버섯, 호박씨, 브로콜리, 양배추 등이 좋은 식이섬유 공급원입니다.프리바이오틱스이눌린, 프락토올리고당 등 장내 유익균 증식을 돕는 성분입니다. 마늘, 양파, 치커리, 돼지감자 등에 풍부합니다.폴리페놀강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로 장내 미생물 생태계 복구에 도움을 주며, 염증 감소에 긍정적입니다. 석류, 블루베리, 강황, 녹차 등에 풍부합니다.비타민과 미네랄비타민U(양배추 등 십자화과 채소에 함유)는 위벽 보호 및 소화기 건강에 기여합니다. 마그네슘, 칼륨 등 미네랄도 장 운동 및 염증 .. 2025. 10. 30.
엿기름 영양성분과 효능 및 먹는 방법 / 주의사항 ※ 엿기름이란?엿기름은 보리나 밀 같은 곡물에 물을 주어 싹을 틔운 후 바로 건조해 만든 것으로, 전통적으로 식혜, 엿, 조청, 고추장 등 다양한 음식의 재료로 쓰입니다.정의 및 특징엿기름은 보리를 발아시켜 건조한 것으로 “맥아(麥芽)”라고도 불리며, 영미권에서는 ‘malt’로 표현합니다.이름에 ‘기름’이 들어 있지만 실제로는 기름(오일)과는 무관하며, 어원은 ‘기르다’에서 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곡물 싹이 틀 때 생성되는 아밀레이스 효소를 이용해 곡물 녹말을 당분으로 분해시키는 역할을 합니다.발효식품, 술(맥주, 위스키 등), 식혜, 엿, 조청, 고추장 등의 제조에 필수적인 효소 공급 수단입니다.주요 용도와 효능식혜, 엿, 조청, 고추장 등 한국 전통 음식의 단맛과 효소 공급에 사용됩니다.소화 효소(.. 2025. 9. 21.
보리수 열매 영양성분과 효능 및 먹는 방법, 궁합음식, 주의사항 -- 목차 --보리수 열매 란?보리수 열매는 작고 빨간 과실로, 길이 6~8mm 정도의 다소 긴 공 모양을 하고 10~11월에 붉게 익습니다. 맛은 신맛과 단맛, 떫은맛이 함께 나며, 덜 익었을 때 떫은맛이 강해 땡감과 비슷합니다. 잘 익은 열매는 앵두처럼 보이고, 겉 표면에 특유의 요철 질감이 있습니다.이 열매는 산수유과의 열매와 비슷하지만 산수유보다 더 신맛과 떫은맛이 강하며, 신맛과 달콤함, 떫은 맛이 공존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보리수 열매는 주로 기침, 가래, 천식, 설사, 기관지염, 월경과다 등의 치료에 약용으로 사용되며, 혈액순환 개선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한방에서는 보리수 열매를 '호퇴자'라고 부르며, 기관지염 개선, 혈액순환 촉진, 설사 멈춤, 타박상 치료 등에 쓰입니다... 2025. 9. 15.
들깨 영양성분과 효능 및 먹는 방법, 주의사항, 보관방법 -- 목차 --들깨란?들깨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그 씨를 의미하며, 학명은 Perilla frutescens이다. 들깨의 잎은 흔히 깻잎이라 부르고, 씨를 짜서 만든 기름은 들기름이라 한다. 동남아시아와 인도 고지가 원산지로,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왔다. 들깨는 참깨와는 별개의 식물로,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하며, 식용뿐 아니라 약용으로도 쓰인다. 특히 변비 완화, 중풍 예방, 피부 미용, 성인병 예방 등에 효능이 있고, 들깨로 만든 들기름은 혈관 노화 방지와 미용 효과도 높다.들깨 영양성분들깨의 영양성분(100g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열량: 약 540~884 kcal단백질: 16~29 g지방: 39.5~81.5 g (주로 불포화 지방산, 오메가-3 지방산 풍.. 2025. 9. 15.
참깨 영양성분과 효능 및 먹는 방법, 주의사항 -- 목차 --참깨란?참깨는 참깨과(Sesamum indicum L.)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입니다. 키는 대체로 1m 내외까지 자라며, 줄기는 사각형이고 여러 개의 마디가 있습니다. 잎은 줄기 위치에 따라 모양이 다르고, 꽃은 흰색 또는 담홍색으로 7~8월경에 핍니다. 열매는 삭과로, 길이 2~3cm이며 안에 약 80개의 씨앗이 들어 있습니다. 씨앗이 익으면 끝부분이 터져 씨가 쏟아져 나오는 특징이 있습니다.참깨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며, 원산지는 서아시아, 인도, 아프리카 등 여러 설이 있지만 주로 인도 및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가 주요 산지입니다. 한국에서는 여러 품종이 재배되고 있는데, 흰깨와 검정깨로 크게 나누며, 품종별로 생육 특성과 병충해 저항성 등이 다릅니다.참깨 씨앗은 기름 함량이 .. 2025. 9. 15.
율무 영양성분과 효능 및 먹는 방법, 주의사항 -- 목차 --율무란?율무는 벼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식물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이며 쌀과 비슷한 곡물입니다. 국내외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건강식품으로, 한방에서는 '의이인'이라는 이름으로 약재로도 널리 사용됩니다. 율무는 고소하고 담백한 맛이 특징이며, 주로 율무차, 죽, 밥 등에 활용됩니다.한방에서는 몸을 가볍게 하고 노화를 막으며, 염증이나 감염성 기침 치료 등에도 사용되었습니다. 율무를 꾸준히 섭취하면 건강 증진에 여러모로 도움이 되는 곡물입니다율무 영양성분율무의 영양 성분을 100g 기준으로 자세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율무 기본 영양성분칼로리: 약 377~385 kcal탄수화물: 64.96~70.5 g단백질: 15.0~15.4 g지방: 3.2~6.97 g수분: 10.7~10.9 g회분(무기질.. 2025. 9.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