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치자 영양성분과 효능 및 먹는 방법, 주의사항, 치자차 만드는 방법

by egalam 2025. 11. 24.
반응형

※ 치자란

치자란 치자나무(Gardenia jasminoides)의 잘 익은 열매를 말하며, 주로 말려서 한약재·식용색소·천연염료로 사용하는 재료를 뜻한다.​

기본 정의

  • 치자는 꼭두서니과 상록관목인 치자나무의 성숙한 과실(열매)을 건조한 것을 가리킨다.​
  • 가을에 노란빛 또는 홍황색으로 익은 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려 약재나 염색, 식품 색소로 활용한다.​

명칭과 형태

  • 한자로는 보통 梔子라 쓰며, 열매 모양이 옛날 술잔(卮)을 닮았다 하여 그런 이름이 붙었다는 설명이 있다.​
  • 열매는 긴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익으면 노란색에서 주황·붉은빛을 띠며 매우 진한 노란 색소를 낸다.​

쓰임새 요약

  • 전통적으로 열을 내리고, 가슴 답답함과 습열, 소변불리, 출혈, 부종 등을 다스리는 한약재로 써 왔다.​
  • 밥, 떡, 단무지, 바나나우유, 카레 등 식품에 노란색을 내는 천연 식용색소로 널리 사용된다.​
  • 직물과 공예품을 노랗게 물들이는 천연염료로도 오래전부터 활용되어 왔다.​

원하시면 치자의 유효성분·구체적 효능·체질별 주의점·차나 요리 활용법까지 정리해 줄 수 있다.​

※ 치자 일반 영양성분(건조 치자 100g 기준)

치자는 다양한 항산화 성분과 무기질이 풍부한 식물성 식재료로, 다음과 같은 영양성분과 건강 효능을 가지고 있다.​

항목 함량
수분 12.09%
탄수화물 56.86%
단백질 8.05%
지방 11.10%
조회분(무기질) 11.90%

무기질 성분(100g 중 함량)

성분 함량(mg)
칼슘 669.20
칼륨 518.19
마그네슘 708.97
177.01
나트륨 3.47
철분 21.01
구리 7.77
아연 4.12

특이 영양 성분 및 항산화물질

  •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탄닌, 카로티노이드(크로신, 루테인, 제아잔틴), 크로세틴 등​
  • 총 유리당(포도당, 과당, 자당 등) 함유량 21.88%​

건강에 유익한 효능 성분

  •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진 크로신 등 카로티노이드와 비타민 C​
  • 플라보노이드, 탄닌 성분으로 인한 항염·항균·심혈관질환 예방 효과​
  • 다양한 무기질 덕분에 뼈 건강, 심혈관 건강, 항산화 작용에 도움​

치자는 이처럼 색소 성분, 항산화 성분, 각종 무기질과 당질, 그리고 단백질·지방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 치자 주요 효능

치자는 전통 한의학과 현대 건강 연구 모두에서 다양한 효능이 입증된 약용 열매로, 간 해독, 항염, 해열, 항산화 효과 등 복합적인 건강 증진 효과가 있다.​

  • 간 보호 및 해독 작용
    치자 성분(크로신, 크로세틴, 게니핀 등)은 간 해독 과정 활성화와 간세포 보호에 도움을 준다.​
  • 강력한 항염증 및 항산화 효과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 등이 세포 산화와 염증 반응 감소에 효과적이며, 관절염, 심혈관질환, 만성염증 예방에 도움이 된다.​
  • 해열 및 열 내림
    치자는 전통적으로 '열성' 체질이나 열감, 발열 증상 완화에 널리 쓰였으며, 체온 조절과 고열 억제에 효과적이다.​
  • 소화 개선 및 장 건강
    탄닌·플라보노이드가 장내 유익균 성장을 돕고 소화 흡수, 복부 팽만, 변비 증상 완화에 작용한다.​
  • 혈관 및 심혈관 건강
    콜레스테롤 저하, 혈관 보호, 혈액순환 개선으로 심혈관질환·고혈압·고지혈증 등 성인병 예방에 도움을 준다.​
  • 면역력 강화 및 해독
    풍부한 비타민 C와 항산화 물질로 면역세포 활성, 감염 저항력 증진, 노폐물·독소 배출을 촉진한다.​
  • 피부 건강 및 상처 치유
    항염·항균 작용으로 피부 트러블·아토피·여드름 개선, 피부 노화 억제 및 상처 치유 촉진 효과가 있다.​​
  • 진정·심신 안정
    신경 안정 및 불면, 스트레스 해소에도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치자에는 눈 건강 개선, 혈당 조절, 비염·기관지 염증 완화, 땀 배출 조절 등 다양한 부가 효능이 보고된다.​
효능은 섭취 형태(차, 가루, 엑기스 등)와 개인 체질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적정량과 체질에 맞춰 활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 치자 먹는 방법

치자는 주로 차로 끓여 마시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 밖에도 죽, 밥, 전 등 요리 재료나 천연염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치자 차
    잘 말린 치자 열매 5~15g을 깨끗이 씻어 물 1~2리터에 넣고 중 약불에서 30분~1시간 정도 우려내거나 끓여 차로 마십니다. 꿀이나 대추 등으로 단맛을 더해도 좋습니다. 우린 물은 냉장 보관하며 하루 1~3잔 마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치자 죽
    쌀과 치자 우린 물을 함께 끓여 죽으로 만들며, 체내 흡수를 돕고 영양을 공급하는 데 좋습니다.​
  • 치자 밥
    밥을 지을 때 치자 우린 물을 사용하면 노란색을 띤 밥이 완성되어 김밥, 볶음밥 등에도 활용됩니다.​
  • 치자 전·수제비
    반죽에 치자 우린 물을 넣어 노란 빛깔이 도는 한식 전이나 수제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환 형태나 가루
    치자를 볶아 가루 내 환으로 만들거나 다른 약재와 배합해 복용할 수도 있습니다.​

주의사항 및 복용 팁

  • 체질에 따라 몸이 찬 사람, 변이 묽은 사람은 복용을 조심해야 하며, 장기간 복용은 3개월 이내가 권장됩니다.​
  • 약재로 사용할 경우 1-2시간 이상 약불에서 천천히 달이는 것이 성분 추출에 효과적입니다.​
  • 복용 전 혈압약, 항응고제 등 약물 복용과 병행 시 의사 상담이 필요합니다.​

즉, 치자는 전통 차로 즐기거나 요리에 응용하는 한편 약제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성분 추출과 체질 맞춤을 고려한 섭취가 중요합니다.​

 

※ 치자차 만드는 방법

치자차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자세히 따라 할 수 있습니다:​

재료

  • 말린 치자 열매 20~30g
  • 물 2리터 (2,000ml)
  • 기호에 따라 꿀, 설탕, 대추 등 선택 사항

단계별 만드는 법

  1. 말린 치자 열매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어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2. 냄비에 물 2리터를 붓고 씻은 치자를 넣습니다.
  3. 처음에는 센 불에서 끓입니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약하게 줄여 1시간 정도 은근히 우려서 달입니다. 오래 끓일수록 성분이 잘 우러나옵니다.
  4. 다 끓인 후에는 건더기는 체에 걸러 제거합니다.
  5. 따뜻한 상태로 바로 마시거나 식혀서 냉장 보관 후 1일 2~3잔 정도 나누어 마십니다.
  6. 단맛이 필요하면 꿀이나 설탕을 첨가해도 좋고, 생강을 넣어 찬 기운을 보완할 수도 있습니다.

복용 팁

  • 찬 성질이 있는 치자차는 몸이 냉한 사람은 주의해서, 적당량만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 꾸준히 마시면 해열, 간 건강, 스트레스 완화, 피부 개선 등 다양한 효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 만든 치자차는 명확한 열(화) 내림과 신경 안정, 항염 작용에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치자 주요 부작용 및 주의사항

치자는 여러 가지 건강 효능이 있지만,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과 부작용이 있으니 섭취 시 반드시 유의해야 합니다.​

  • 위장장애
    소화기계가 약한 사람은 치자 성분이 위산 분비를 촉진해 속 쓰림, 구토, 설사, 복통 같은 위장 장애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과다 복용 시 더욱 위험하므로 적정량 복용이 필수입니다.​
  • 알레르기 반응
    피부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증, 호흡 곤란 등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처음 복용 시 소량 섭취하며 주의해야 합니다.​
  • 임산부 및 수유부
    치자 성분 중 일부가 태아에게 영향을 줄 수 있어 임신부는 반드시 전문가 상담 후 복용해야 하며, 수유부도 적정량을 지켜야 합니다.​
  • 약물 상호작용
    혈압약, 항응고제, 당뇨 치료제 등 복용 시 치자가 약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의사와 상담 후 사용해야 합니다.​
  • 체질별 주의
    치자는 차고 서늘한 성질이 있어서 평소 몸이 차거나 냉증이 심한 사람은 복용 시 설사, 현기증, 피로감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장기간 과다 복용 위험
    장기간(3개월 이상) 과다 복용 시 간 기능 이상, 피부 반응, 소화 장애 등이 보고되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처럼 치자는 효과가 뛰어난 만큼 개인 체질과 건강 상태, 다른 약물 복용 여부를 고려하여 적정량과 기간 내 복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