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손가락 저림이 나타나는 경우, 주요 원인과 관련 질환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
가장 흔한 원인으로, 손목을 지나는 정중신경이 힘줄 등에 눌려 1~4번째 손가락(엄지, 검지, 중지, 일부 약지) 끝에 저림이 발생합니다. 야간에 증상이 심해지고, 손을 많이 쓰는 사람, 중년 여성, 당뇨병 환자 등에서 잘 나타납니다. - 척골터널증후군(주관증후군)
팔꿈치 부위의 척골신경이 눌려 약지와 새끼손가락에 저림과 통증이 나타납니다. 팔꿈치를 구부린 채 오래 있거나, 팔베개, 스마트폰 사용 등에서 악화될 수 있습니다. - 목 디스크(경추 신경병증)
목뼈 사이의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하면, 목·어깨 통증과 함께 손가락까지 저림이 생길 수 있습니다. 두통, 어깨 통증이 동반되기도 하며, 방치 시 근력 저하나 감각 저하, 마비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뇌졸중
갑자기 한쪽 손과 발, 얼굴에 저림이나 마비가 동반된다면 뇌졸중(뇌혈관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언어장애, 어지럼증 등 다른 신경학적 증상이 동반되면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을 때, 손끝 말초신경이 손상되어 손·발 저림, 감각 저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당뇨병 기간이 길거나 고혈당이 지속될수록 위험이 높아집니다. - 기타 원인
말초혈액순환장애, 신장질환, 갑상선기능저하증, 알코올성 신경병, 영양부족, 약물 부작용 등도 손가락 저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손가락 저림이 반복되거나, 근력 저하·감각 소실·마비·언어장애 등 다른 증상이 동반된다면 신경과 또는 정형외과 진료를 받아야 하며, 원인 질환에 따라 치료가 달라집니다.
혈액순환 문제로 오해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신경 압박이나 손상 때문인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액 순환을 돕는 간단한 방법 (0) | 2025.07.15 |
---|---|
탄산수 효능과 주의사항 (0) | 2025.07.14 |
뱅어 효능과 먹는 방법 및 주의사항 (0) | 2025.07.14 |
아귀탕 효능과 요리방법 및 주의사항 (1) | 2025.07.14 |
나한과 효능과 먹는 방법 및 주의사항(부작용) (1)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