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85

호박잎 효능 및 부작용, 호박잎 찌는 방법, 보관방법 호박의 어린잎을 호박잎이라고 합니다 이 호박잎은 비타민과 베타카로틴이라는 다양한 영양성분이 들어있어 체내의 이로운 작용을 도와줍니다 호박잎의 특징을 살펴보면 일단 잎이 넓고 털이 많은 것이 특징이며, 칼로리가 낮아 다이어트에도 좋고 항산화 성분인 베타카로틴이 풍부한 채소입니다. '처서(處暑 - 양력 8월 23일 무렵) 지나서 나오는 호박잎이 제일 부드럽고 안 씁니다' ※ 호박잎 효능 1. 항암작용 호박잎에는 베타카로틴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베타카로틴은 강력한 항산화 성분으로 꾸준히 드시면 활성산소로 인해 우리 몸의 세포가 노화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막아주고 체내의 활성산소를 제거해 주어 암세포가 증식하거나 전이되는 것을 막아 항암작용에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2. 심혈관계 질환 예방 칼륨 성분은 체.. 2023. 10. 28.
밀의 효능 및 부작용, 주의점, 조리법 밀은 옥수수, 쌀과 함께 세계 3대 주식으로 손꼽히는 곡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은 양이 소비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엔 쌀이 주식이긴 하나, 동양권에서도 유난히 밀 소비량이 많은 편입니다. 밀은 많은 분들이 밀가루 음식, 빵이 나쁘다는 선입견 탓에 나쁘다고 여겨지곤 합니다. 그러나 밀은 영양학적으로 볼 때 우수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적절하게 먹는다면 우리 몸을 건강하게 만들어주는 좋은 식품입니다. 밀을 서양인의 주식으로만 여기는 사람이 많다. 그러나 밀은 한국인과도 인연이 깊은 곡식이다. 우리 밀은 국산 밀의 한 품종이다. 주 품종이 아니며 국산 밀의 1% 정도이다. 국산 밀의 90%가량은 국수 등 다목적으로 쓰이는 금강밀입니다. 한반도에 밀이 들어온 것은 삼국시대로 거슬로 올라간다. 고려사,.. 2023. 10. 26.
두부의 효능 및 부작용, 영양성분 콩을 가지고 밭에서 나는 소고기라는 표현을 합니다. 그런 콩을 가지고 만드는 음식 중에는 두부가 있는데, 두부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식품 중 하나입니다. 콩은 생각보다 오래전부터 먹었던 식품인데, 기록에 의하면 청동기 초기 시대인 BC1500년경에 콩씨가 박힌 토기가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있을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진 식품입니다. 완벽 식품과 웰빙식품으로 잘 알려진 두부에는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한 단백질 성분으로 이루어져 항암식품으로 잘 알려진 식품입니다. 예로부터 밭에서나는 고기라고 할 수 있는 콩에는 뇌기능 향상과 콜레스테롤 축적 방지, 골다공증 예방 등에 효과적인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콩의 단백질은 육류나 생선, 우유에 비해 질은 다소 떨어지지만, 체내 흡수가 잘되기 때문에 .. 2023. 10. 26.
바지락 효능과 부작용 및 주의점, 손질법, 고르는 방법, 보관법 바지락은 진판새목 백합과에 속하는 작은 바닷조개입니다. 바지락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바지락을 잡을 때 호미로 갯벌을 긁으면서 부딪히는 소리가 '바지락 바지락'거린다고 해서 붙여졌다는 이야기도 있고, 바닷가에서 발에 밟힐 때 '바지락 바지락'소리가 난다고 해서 바지락이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바지락은 2월부터 4월까지가 제철인 음식으로 가장 맛있을 시기인데, 그 이유는 바지락의 산란하기 진적인 3~4월에 가장 통통하게 살이 올라있기 때문입니다. 바지락은 여름에 먹을때는 조심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바지락의 산란철인 7~8월에는 바지락에는 독소가 들어있어, 여름철에 바지락을 먹는다면 특히 조심해야 합니다. 동의보감에는 "해주독 능성주(解酒毒 能醒酒)"라고 기록이 되어 있는데 이는 술독을 풀어서 술에 취한 것을 깨.. 2023. 10. 26.
참치회 효능과 부작용, 고르는 법, 먹는 방법 우리가 흔히 참치라고 부르는 참다랑어는 몸길이가 3m 정도의 큰 고등엇과의 바닷물고기로 제주도와 동해, 남해를 비롯하여 일본과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분포되어 있는데요. 우리가 흔히 먹는 참치 캔에 들어있는 생선은 ‘가다랑어’로 ‘참다랑어’와는 다른 종류라고 합니다. 참다랑어는 다랑어류 중 가장 맛이 좋은 최고급 생선 중 하나로 주로 회나 초밥, 탕으로 이용되며 칼로리와 지방은 적지만 영양분이 풍부해 ‘바다의 쇠고기’ 또는 ‘바다의 닭고기’라고 불리는데요. 오늘은 참치회 효능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참치회 효능 1. 면역력 강화 참치에 함유된 셀레늄은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데요. 동원참치 라이트 스탠다드 150g 한 캔으로 약 120ug의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는데, 이는 성인 셀레늄 섭.. 2023. 10. 26.
도라지 효능 및 부작용, 고르는 법, 손질법 도라지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길경, 질경채, 백약, 산도라지라고도 불립니다. 도라지 뿌리에는 약용 성분인 사포닌이나 이눌린 등의 유효 성분이 포함돼어 있어 진해 거담 작용과 정장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포닌은 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스테로이드, 혹은 트리테르펜의 배당체의 일종으로 식물의 쓴맛이나 떫은맛의 원인이 되는 성분입니다. 도라지 외에도 콩과 인삼, 전칠인삼, 청두루미 등 주로 콩과 식물에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라틴어 비누를 뜻하는 '사포'가 이름의 유래인데요 물에 녹으면 비누처럼 거품을 만드는 발포 작용을 합니다. 사포닌이 만들어 내는 거품이 지질을 녹이는 기능을 가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도라지에 포함되어 있는 사포닌에는 건강에 대한 효과가 기대되고 있으며, 보충제 등에도.. 2023. 10. 26.
더덕의 효능과 성분 및 부작용, 고르는 방법, 손질 방법. 보관 방법 더덕은 초롱꽃과 (Campanulaceae, Bellflower family)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경우, 더덕의 뿌리 부분이 식용이나 약용으로 사용됩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더덕의 잎이 요리 재료로 쓰이기도 합니다. 더덕은 약간 축축하고 습기가 있는 땅에서 잘 자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고랭지 지역 등이 더덕을 키우기 적합합니다. 우리나라의 구릉지대나 낮은 산지대에서 더덕을 재배하고 있습니다. 강원도 횡성과 정선이 더덕 재배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더덕은 씨를 심은 뒤, 2-3년이 지나야 수확을 할 수 있는 식물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봄에 씨를 뿌리고, 그 해 가을에 바로 결실을 볼 수 있는 작물은 아니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지역 특성에 따라 기온 변화가.. 2023. 10. 26.
파의 효능과 부작용, 영양성분, 보관법, 파김치 ✔️ ※ 파의 영양 성분 파는 마늘, 양파 등과 함께 알리움(Allium)속 식물에 속하는 채소입니다. 이들 채소에 특별한 성분이 들어 있는데, 그 성분이 바로 알리신(Allicin)입니다. 마늘이나 파에서 느끼는 특유의 향과 맛이 알리신으로 인한 것입니다. 알리신은 강력한 항균 및 살균 등 다양한 작용으로 건강을 도울 수 있답니다. 쪽파 영양성분 쪽파는 철분, 비타민 A, C 등이 풍부하다 파나 마늘처럼 독특한 향기와 살균력을 가지고 있고 건위제, 이뇨제, 강장제로 이용된다 고지혈 중과 고혈압을 억제하고 암과 뇌혈관계 질환 등성인 병을 예방하는 항산화 성분이 함유되어있습니다. 쪽파 칼로리 : 100g 27kcal ※ 파의 효능 • 감기 예방 파 효능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감기 예방입니다. 파에 풍부하게 들.. 2023. 10. 26.
개다래 효능과 부작용 및 개다래 먹는 방법 개다래는 산속에 흔하게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입니다.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10~11월에 익습니다. 7~8월 벌레 먹은 열매는 약용으로 사용하는데 이 열매를 개다래 충영이라고 합니다. 가을에 열매를 채취하여 말린 후 약재나 술을 담그는 재료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개다래 열매에는 다량의 비타민C, 악티니딘, 폴리가몰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목천료자라고 부르며 애용했으며, 중풍 후유증, 통풍, 관절염, 오한 등에 활용해 왔다고 전해집니다. 원래 다래는 달아서 생긴 명칭인데 개다래는 다래인데도 달지 않아서 가짜 다래라는 의미로 생긴 이름이라고 합니다. 달지는 않지만 예로부터 약용으로 쓰여온 개다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개다래 효능 통풍 완화 개다래에는 예로부.. 2023. 10.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