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35

청포도 효능과 부작용, 씻는 방법, 보관법, 고르는 방법 청포도는 7~8월이 제철이며 구연산과 유기산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이 되며 입맛이 없을 때 청포도는 입맛을 돋우어 주는 효능도 가지고 있다. 청포도의 탄닌은 요리를 할 때 해산물의 비린 맛을 약하게 하는 효과가 있어 해산물 섭취를 용이하게 해 줍니다. ※ 청포도 영양성분 - 151g 기준 104 칼로리 27.3g의 탄수화물 1.1g의 단백질 0.2g의 지방 일일 섭취량의 27% 비타민C 일일 섭취량의 28% 비타민K 일일 섭취량의 7% 티아민 일일 섭취량의 6% 비타민 B6 일일 섭취량의 8% 칼륨 일일 섭취량의 10% 구리 일일 섭취량의 5% 망간 이러한 영양분은 대표적인 영양분인 비타민 C가 흡수하는데 도움을 줌으로써 피부 및 피로 해소에 효과가 있습니다. ※ 청포도의 효능 1. 독소 배출 및 감.. 2022. 8. 17.
포도의 효능 및 부작용, 칼로리, 영양성분, 고르는 법, 보관법 포도는 유럽 남부 및 아시아 서부 원산으로 세계 각지에서 재배하는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 포도주의 원료로 사용이 되어 세계에서 가장 생산량이 많은 과일입니다. 잎과 마주나는 덩굴 손으로 다른 물체에 붙어 올라가고 어린 가지에 털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며, 둥글고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윗면에 털이 없으며 뒷면에 솜털이 빽빽하게 있습니다. 꽃은 6월에 잎과 마주는 원추 꽃차례에 달리며 황록색입니다. 열매는 장과, 둥글고 자주색으로 익으며 생식하거나 포도주의 원료로 사용이 됩니다. 한국에서 키우는 품종은 대부분 생식용(캠벨 얼리, 델라웨어, 거봉 등)으로 경북, 충북 지역에서 주로 생산이 되며 국내 최초의 포도 재배지인 안성의 포도는 생산량은 많이 감소했으나 품질이 좋기로 유명합니다.. 2022. 8. 17.
복분자의 효능, 복분자주 만드는 법 복분자는 장미과에 속하는 야생 나무딸기의 생약명입니다. 복분자는 산기슭의 햇빛이 잘 들고 토양이 좋은 곳이나 계곡 근처에서 자라는 낙엽성의 나무로 높이가 3m 정도이며 굽은 가지와 곧은 가시들이 나있습니다. 5월에 흰 꽃이 핀 후 7월 말경 검붉은 빛깔로 열매가 익으며 열매에는 탄수화물, 유기산, 비타민 등이 들어 있습니다. 분자 이름의 유래는 복분자 열매를 먹으면 요강이 뒤엎을 만큼 소변 줄기가 세어진다는 설화에서 유래된 것으로 뒤집힐 복, 요강 분, 아들자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합니다. > 1. 탈모 예방 유전도 아닌데 자꾸 머리카락이 빠진다면 신장 기능부터 점검해 봐야 한다. 신장에 혈(血)이 부족하거나 기능이 부실하면 머리카락이 빠지고 푸석해지면서 흰머리가 늘어난다. 신장에 기혈이 부족하면, 엑스레.. 2022. 6. 19.
부추(정구지)의 효능 및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 방법 부추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우리 몸의 양기를 돋우는 따뜻한 성질을 가진 채소입니다.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으며, 노화를 방지하고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는 아주 좋은 재료입니다. 봄 부추는 천연 자양강장제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양기를 돋우는 데 효능이 있는 채소입니다. 지방에 따라 부추를 정구지, 부채, 주초, 난총이라 부르기도 하며, 기후 적응성이 좋아 우리나라에서는 봄부터 가을까지 3~4회 노지 수확이 가능하고, 그 이후에는 주로 시설 재배를 하게 됩니다. 봄에 처음 올라오는 부추가 가장 연하고 맛이 좋으며, 부추에는 약간의 매운맛과 신맛이 있고 특유의 향이 있는데, 이는 부추의 유황 화합물에 의해 나는 것입니다. 부추는 잎의 크기에 따라 대엽과 소엽으로 나뉘는데 소엽.. 2022. 6. 7.
참외의 효능 및 부작용, 참외 성분, 보관 방법, 고르는 법 참외는 영어로 korean melon이라고 합니다. 참외에는 비타민C, 칼슘, 단백질, 엽산 등과 함께 베타카로틴이라는 성분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면역력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과일입니다. 봄철에도 하우스에서 자란 참외를 볼 수 있는데 보통 밖에서 재배한 참외는 6~8월에 수확하게 됩니다. 요즘은 비닐하우스에서 재배 가능하여 1년 내내 그 맛을 볼 수가 있습니다. 아삭하고 달콤한 식감이 일품인 참외는 여름 대표적인 과일입니다. 수분이 많고 맛이 단 것이 특징이며 몸을 차게 해주는 성질이 있어 더위를 식혀주고 갈증을 없애준다고 합니다. ◎ 참외 성분 참외의 성분들 (100g) 탄수화물 7.8g 단백질 0.8g 식이섬유 1g 판토텐산 0.16mg 엽산 50mmg 티아민 0.03mg 비타민A 15.. 2022. 6. 3.
살구의 효능 및 부작용, 고르는 법, 보관법, 손질법 살구는 자미과 벚나무 속에 속하는 식물로 원산지는 중국 북서부이며 한반도와 일본 등지에도 분포를 하고 있습니다. 과일의 한 종류로 복숭아와 생김새가 비슷하며 껍질 색깔은 다홍색이 감도는 주황빛을 띠며 과육도 껍질의 색깔과 같고 과육 안에는 어두운 나무색의 큰 씨앗이 하나 있습니다. 식용 이외의 용도로도 쓰이는데 특히 살구에서 추출한 오일이 피부 미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서 인기가 좋습니다. 식재료로써 조리할 때는 잼이나 통조림으로 가공하여 먹고 얼음과 함께 갈아 음료수로 마시기도 합니다. 열매는 적당히 시면서도 달콤한 맛이 나며 영양 면에서는 비타민과 섬유질이 다량 함유가 되어 있어 특히 눈 건강의 증진과 변비 완화에 효능이 있으며 노화를 예방하고 염증을 소독하는 데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살구 씨를 말린.. 2022. 6. 2.
오이의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고르는 방법 오이는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이고 따뜻한 기후를 좋아해 우리나라에서는 4월~7월이 제철인 식품입니다. 5~6월에 3cm 정도인 노란색 꽃을 피우고 가시오이, 청장 오이, 노각, 백다다기, 청다다기 등이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오이는 95% 수분으로 구성되어있어 시원한 맛이 특징인 식재료입니다. 특유의 향긋한 냄새와 아삭한 식감으로 갈증 해소에 도움을 주고 체내 노폐물 배출을 도와준다고 합니다. 오이 칼로리 : 100g 9kcal 오이 제철 : 4-7월 오이 원산지 : 인도 네팔 히말라야 부근 ※ 오이의 효능 1. 가볍고 산뜻하게 수분 공급에 더없이 좋은 오이 오이가 95% 이상의 물을 함유하기에 이를 섭취했을 때 몸을 식히고 수분 공급에 더한 유익함을 준다고 합니다. 습하고 무더운 여름 날씨에 오래 .. 2022. 5. 31.
키조개 효능 및 부작용, 고르는 법 키조개는 맛이 좋고 풍부한 영양소로 인해 남녀노소가 다 좋아하는 음식물이다. 봄이 오면 담백한 맛이 일품인 키조개 요리도 맛볼 수 있고 키조개 껍질은 장식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연체동물이며 천체의 모양은 삼각형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곡식을 까부르는 키를 닮았다고 키조개라고 한다. 샤부샤부, 꼬지, 구이, 무침, 회, 초밥, 전, 죽, 탕 등 다양한 방법의 조리가 발달되어 있다. 이번에 살펴볼 키조개 효능으로는 다이어트와 콜레스테롤 수치 조절, 키 성장과 두뇌발달, 간 보호 등에 관한 효과적입니다. 제철은 4~5월입니다. 칼로리는 100g당 100kcal 키조개 성분 성분으로는 각종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양질의 단백질, 비타민B군(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엽산, 나이아신, 판토텐산), 비타.. 2022. 5. 26.
새싹삼 효능 및 부작용, 성분, 먹는 방법, 재배방법 새싹삼이란 잎이 있는 1년 근 인삼을 40~60일 수경재배한 삼을 말하며 뿌리, 줄기, 잎까지 전체를 먹을 수 있는 웰빙채소입니다. 삼의 효능은 삼의 대표 성분인 사포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새싹삼은 뿌리보다 줄기나 잎에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 함량이 6~8배 이상 많아 영양적 가치가 풍부합니다. 뿌리를 주로 식용하는 인삼과는 달리 새싹삼은 뿌리, 잎사귀 줄기 모두 식용이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 새싹삼 성분 사포닌 함량을 비교해 보자면 6년 근 인삼에는 10mg, 장뇌삼에는 30mg, 새싹삼 뿌리에는 15mg, 잎에는 140mg~180mg입니다. 사포닌 성분은 잎에 트리올계 사포닌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는데 신체를 활성화하는데 다이올계 사포닌보다 더 효과적입니다. 뿌리만 먹는 인삼과는 다르게 F.. 2022. 5.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