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51

지치(자초)의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한방에서 산삼, 삼지구엽초와 함께 3대 선약이라고 불린다는 지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렇게 3대 선약이라고 평할 정도로 한방에서 좋은 약재로 손꼽히며, 산삼을 능가하는 약초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몸에 아주 좋다고 합니다. 뿌리가 자줏빛에 가까운 붉은색을 띠기 때문에 자초(紫草)라고 부르고 도교에서 불로장생을 추구하는 불로초는 지치를 가리킨다. 예부터 약용으로 많이 사용되어 와서 동의보감에서도 다루고 있는 약초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지치는 5~6월에 꽃이 피고 봄, 가을에 채취하는 약초로서 뿌리를 약재로 먹는 식물이랍니다. 우리나라 전국에 분포하며, 60~70cm 정도의 크기로 뿌리가 자홍색, 자흑색을 뛰고 있어 예전에는 염색을 위해 이용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 지치 채취시기 및 가공 채취는 늦은.. 2023. 10. 19.
느릅나무 껍질 효능 및 부작용, 유근피차 만드는 법 느릅나무는 15~30m 정도 자라는 큰 키를 자랑하는 나무로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입니다. 한방에서는 느릅나무줄기의 나무 속껍질은 유백피라고 하고, 느릅나무 몸통과 뿌리의 껍질은 유근피라고 하여 다방면에 걸쳐 약재로 사용합니다. 보통 느릅나무껍질이라고 부르는 것이 유근피인데, 유근피는 특히 비염에 효능에 있다고 알려져 있는 약재입니다. ※ 느릅나무의 효능 1. 피부질환 개선 느릅나무는 항균작용에 뛰어난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어 아토피나 습진, 부스럼 등과 같은 각종 피부질환을 개선하는데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환부에 느릅나무껍질을 찧은 이후 환부에 바르거나, 느릅나무껍질을 달인 물을 환부에 바르게 되면 피부질환을 개선하는데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2023. 10. 19.
귀리(오트밀)의 효능 및 부작용, 보관법, 손질법, 고르는 법 귀리는 미국 일간지 타임이 선정한 세계 10대 슈퍼푸드 중에 하나로 선정된 식품으로 해외 유명 스타들이 몸매 관리를 위해서 즐겨 먹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귀리는 벼목 화본과의 두해살이풀로써, 중앙아시아 아르메니아 지방을 원산지로 둔 작물입니다. 귀리는 영어로는 오트(Oats)라고 하고 성질이 평하고 맛은 달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질, 무기질, 비타민, 필수 아미노산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귀리는 다른 곡물에 비해 단백질이나 비타민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식사 대용으로 아주 적합한 식품입니다. 귀리의 좋은 다양한 영양소는 우리 몸에 어떠한 효능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귀리(오트밀)의 효능 1. 성장 발육에 도움을 준다. 귀리의 단백질 함량은 쌀의 2배 정도이며, .. 2023. 10. 17.
브로콜리 효능과 영양성분 및 부작용 브로콜리는 기원전 6세기경 북부 지중해 지역에서 작물로 처음 재배되었습니다. 브로콜리에 들어 있는 영양소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오늘날 브로콜리의 최대 생산국은 중국, 인도, 이탈리아, 멕시코, 프랑스, 폴란드, 미국입니다. 이탈리아어 broccolo에서 유래된 브로콜리는 브라시카 올레라세아(Brassica oleracea)라고 하는 배추속 식물로 양배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영양학적으로 동일합니다. 청경채, 양배추, 케일 및 근대 등과 같이 십자화과 채소로써 세포 손상의 원인인 자유 라디칼 손상을 억제하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isothiocyanates)라고 불리는 식물성 화학물질이 풍부합니다. 이 채소에는 이소티오시아네이트 외에도 설포라판(sulforaphanes)과 인돌(indoles.. 2023. 10. 17.
시금치 효능 및 부작용 · 시금치 된장국 시금치는 아프가니스탄 주변의 중앙아시아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 이란 지방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재배되었습니다. 내한성이 강해 서늘한 봄, 가을과 겨울에 잘 자라며 이때 수확한 시금치는 비타민C가 더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습니다. 시금치는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는데 동양종은 추위에 강하여 가을과 겨울에 재배되어 겨울 시금치라고 불리고 서양종은 봄과 여름에 재배되어 여름 시금치라고 합니다. 겨울 시금치는 잎이 날렵하지만 여름 시금치는 잎이 두껍고 둥근 특징이 있습니다. 미네랄, 비타민, 식물성 영양소 등이 함유되어 있는 채소는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시금치에는 이런 영양분이 함유되어 있는 채소입니다. 시금치는 어린이에게는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해 주고, 성인에게는 에너지를 주며, 노인들에게는 건강과 균형 그리고.. 2023. 10. 17.
히카마 효능 및 부작용, 먹는 방법, 손질법 히카마는 멕시코 감자, 혹은 얌빈이라고 불리며 멕시코가 원산지입니다. 표면은 노란색이고 껍질은 쉽게 벗겨지며 속은 배나 감자와 비슷한 크림색입니다. 단맛이 나고 식감이 아삭아삭하며 맛은 고소한 사과 같다는 표현이 있습니다. 줄기나 잎을 제외한 뿌리만 식용으로 이용을 하고 나머지는 살충제로 사용을 합니다. 잎과 줄기에 독성이 있어서 병충해에 강해 어디에서도 잘 자랍니다. 허밍턴 포스트에서 20대 건강식품으로 뽑힐 만큼 영양소가 풍부하여 뿌리 작물로 생육기간이 길어 5월에 심으면 10월쯤 수확을 할 수 있습니다.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하면서 단맛을 내는 이눌린 성분이 풍부하여 당뇨병 환자들이 먹기에 적합하고 이눌린 성분은 대장암의 위험을 낮춰준다. 탄수화물과 수분이 많으며 미량의 단백질고 함유하고 있습니다. .. 2023. 10. 17.
생강 효능 및 부작용 · 생강차 만드는 법 생강은 향신료이지만 효능면에서는 어떤 식재료보다 좋은 효능을 가지고 있는데요 중국의 공자는 몸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 식사 때마다 생강을 챙겨 먹었다고 합니다. 각종 요리 등에 향신료로 첨가되는 생강은 맛이 알싸한 매운맛과 향이 향미 채소로 사용되며 요리의 양념과 소스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생강은 우리나라에서도 오래전부터 재배가 되어 왔지만 원산지는 인도입니다. 아열대 지방에서 재배되는데 여러해살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한해살이 뿌리채소로 재배하고 있어요. 예로부터 생강은 건강에 좋기로 소문난 향신료 중 하나입니다. 특히 생강차는 겨울철 대표 차라 할 정도로 많은 이들이 좋아하는 차입니다. 하지만 생강차는 겨울에만 좋은 게 아닙니다. 생강에는 건강을 돕는 성분이 풍부하게 들어 있어서, 평소 건강차로 즐기면 더.. 2023. 10. 15.
병아리콩 효능과 부작용, 먹는 법, 병아리콩 종류 병아리콩은 쌍떡잎식물이고 장미목 콩과에 속하며 이집트 콩이라고도 불립니다. 7500년 전부터 중동 지역에서 재배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인류 역사상 가장 처음으로 재배한 콩류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병아리콩은 생식으로 드시기도 하고 수프나 카레로 먹기도 합니다. 맛은 밤과 비슷한 풍미가 나며 담백하고 고소하며 씹을수록 고소하며 단맛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병아리콩의 색은 노란빛이 도는 갈색이며, 색이 짙을수록 항산화 물질 및 식이섬유가 풍부하다고 합니다. 영양성분이 풍부한 만큼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서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좋습니다. ※ 병아리콩 맛 병아리콩은 일반적인 콩과 맛이 비슷할까요? 필자가 먹어본 바 병아리콩의 맛은 일반적인 콩 맛과 달리 밤맛이 나고 식감 또한 더 포근포근한 느낌이 들었습니.. 2023. 10. 14.
보리쌀 효능과 부작용, 종류, 영양성분 보리는 쌀, 밀, 콩, 옥수수와 함께 세계 5대 작물 중 하나로 오랫동안 주식으로 사용됐으며 쌀이나 밀보다 1000년 이상 일찍 재배되며 주식으로 사용됐지만, 현대 들어, 보리쌀 생산은 줄고, 밀과 쌀 생산량이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보리가 고혈압과 당뇨병에 좋은 건강식품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영양이 풍부하면서도 다이어트와 변비 해소, 피부 건강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점차 소비가 늘고 있습니다. 보리쌀은 보리를 찧어 겨를 벗긴 것으로 보리쌀을 얻으려면 보리의 겉껍질을 벗겨내고 낱알을 정맥해야 합니다. 다양한 굵기로 정맥한 보리는 통째로 쓸 수도 있고 얇게 부서뜨릴 수도 있고 절단할 수도 있고 갈아서 가루로 만들 수도 있습니다. 전분 함량이 80% 가까이 되기 때문에 특히 채식 위주의 식단에서.. 2023. 10. 14.
반응형